728x90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set(집합) 자료형의 함수들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집합의 내장함수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len
len(aSet) #len(집합 변수)
len(집합 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집합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2.max
max(aSet) #max(집합 변수)
max(집합 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집합의 가장 큰 원소를 반환합니다.
3.min
min(aSet) #min(집합 변수)
min(집합 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집합의 가장 작은 원소를 반환합니다.
4.sum
sum(aSet) #sum(집합 변수)
sum(집합 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집합의 원소들의 합을 반환합니다.
5.sorted
sorted(aSet) #sorted(집합 변수)
sorted(aSet,reversed=True) #sorted(집합 변수,역순)
sorted(집합 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역순으로 데이터를 정렬하고싶다면
sorted(집합 변수,reversed=True)로 사용합니다.
집합 변수의 값을 정렬하여 리스트로 반환합니다.
여기까지 함수들을 실제 사용해 보겠습니다.
이번엔 문자열처럼 마침표(.)를 붙인후 사용하는 리스트관련 메서드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6.add
aSet.add(6) #집합 변수.add(추가할값)
집합변수.add(추가할 값)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인자로 넣은 데이터를 집합의 원소로 추가합니다.
7.update
aSet.update([6,7,8]) #집합 변수.update(리스트)
집합 변수.update(리스트)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값을 추가할때는 update를 사용해서 추가 합니다.
7.clear
aSet.clear() #집합 변수.clear()
집합변수.clear()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집합변수의 모든 인자를 지워 공집합으로 만듭니다.
8.discard & remove
aSet.discard(5) #집합변수.discard(원소)
aSet.remove(5) #집합변수.remove(원소)
집합변수.discard(원소)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집합변수.remove(원소)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둘다 인자로 넣은 데이터를 집합에서 삭제합니다.
이렇게 집합 자료형에 관련한 함수와 메서드 들을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23 - 기본기 - dict 딕셔너리 메서드 (0) | 2021.09.07 |
---|---|
[Python] 22 - 기본기 - dict 딕셔너리 사전 자료형 (0) | 2021.09.03 |
[Python] 20 - 기본기 - set 집합 자료형 (0) | 2021.09.01 |
[Python] 19 - 기본기 - tuple 튜플 함수 & 메서드 (0) | 2021.08.31 |
[Python] 18 - 기본기 - tuple 튜플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