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26

[Python] 17 - 기본기 - 리스트 관련 함수,메서드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list(리스트)자료형의 함수들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리스트의 내장함수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len len(aList)#len(리스트변수) len(리스트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리스트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2.max max(aList)#max(리스트변수) max(리스트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리스트의 가장 큰 값을 반환합니다. 3.min min(aList)#min(리스트변수) min(리스트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리스트의 가장 작은 값을 반환합니다. 4.sum sum(aList)#sum(리스트변수) sum(리스트변수)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리스트의 값을 모두 더해서 반환합니다. 5.sorted sorted(aList)#sorted.. 2021. 8. 20.
[Python] 16 - 기본기 - 리스트 자료형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list(리스트)자료형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리스트는 여러개의 데이터를 모아 처리할 수 있는 자료형 입니다. [](대괄호)로 묶고 ,(쉼표)로 구분합니다. 우선 list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어있는 리스트를 만드는 것 부터 하겠습니다. test = list()#변수명 = list() #또는 test = [] #변수명 = [] test라는 변수에 빈리스트가 생성되었습니다. 처음부터 값이 들어있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list1 = [1,2,3,4,5] 숫자 뿐만아니라 문자열, 심지어 리스트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list2 = [1,2,3,4,5] list2 = [1,2,3,'Python'] list2 = [1,2,3,['Pytho.. 2021. 8. 17.
[Python] 15 - 기본기 - bool 자료형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bool 자료형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bool(불)자료형은 '논리형'이라고도 불리고 참일때는 True 거짓일때는 False 이 두가지만을 값으로 가집니다. 변수 a에 True를 값으로 주고 변수 b에는 False를 값으로 주어 type함수로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해 보았더니 bool자료형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관계연산자와의 판단 결과로도 사용가능합니다. a = 10 b = 20 a > b b > a 변수 a를 10이라하고 변수 b를 20이라고 하여 비교 연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10)>b(20) = False a(10) 2021. 8. 15.
[Python] 14 - 기본기 - 문자열 메소드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문자열 메소드, 즉 문자열에서 사용가능한 메서드들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1.format format메서드는 중괄호({})를 사용하여 위치를 지정하고 format메서드에 값을 넣어주면 순서대로 값이 적용되는 메서드입니다. test = 'test {} {}' test.format('test2',123) print(test) print를 사용해서 확인해보면 test변수의 문자안의 중괄호가 format메서드안의 글자로 변경이 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replace replace메서드는 값을 바꾸어 줍니다. replace(A,B) 이렇게 사용하여 A의 값을 B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test = 'test code code' test.replace(.. 2021. 8. 7.
[Python] 13 - 기본기 - 문자열 슬라이싱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문자열 슬라이싱(슬라이스)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파이썬의 슬로건 'Python for Everybody'를 사용해 문자열 슬라이싱을 해보겠습니다. 슬라이싱은 이전시간에 알아봤던 [Python] 12 - 기본기 - 문자열 [Python] 12 - 기본기 - 문자열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문자열 문자열은 문자를 여러개 붙여놓은 것을 의미합니다. 문자,단어로 구성되어있는 '집합'입니다. 2.사용법 문자열은 사용법이 4가 dev-crimson.tistory.com 인덱싱을 사용해 문자열 안에서 원하는 만큼의 문자를 잘라서 가져오는것을 말합니다. [0] [1] [2] [3] [4] [5] [6] [7] [8] [9] [10] .. 2021. 7. 27.
[Python] 12 - 기본기 - 문자열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문자열 문자열은 문자를 여러개 붙여놓은 것을 의미합니다. 문자,단어로 구성되어있는 '집합'입니다. 2.사용법 문자열은 사용법이 4가지가 있습니다. ' - 작은따옴표 'text' #작은따옴표를 양쪽으로 둘러싸서 문자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작은따옴표 3개 ''' text line1 line2 line3 ''' #작은따옴표를 양쪽으로 3개씩 둘러싸서 여러줄의 문자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큰따옴표 "text" #큰따옴표를 양쪽으로 둘러싸서 문자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큰따옴표 3개 """ text line1 line2 line3 """ #큰따옴표를 양쪽으로 3개씩 둘러싸서 여러줄의 문자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문자.. 2021. 7. 26.
[Python] 11 - 기본기 - 수학 함수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수학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반올림 - round() 반올림을 해주는 round함수 입니다. round(a, b)인자값으로 2개 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인자값이 하나일 경우에는 정수로 반환합니다. 인자값이 두개일 경우에는 두번째 인자가 소수점의 자리수를 결정합니다. 실제 사용건을 보시겠습니다. 2.절대값 - abs() 절대값을 반환하는 abs함수입니다. 인자로 양수 또는 음수를 넣으면 양수로 반환합니다. 실제 사용건을 보시겠습니다. 3.제곱 - pow() 제곱값을 구해주는 pow함수입니다. pow(a,b)와같이 두개의 인자를 넣으면 a의 b제곱을 계산해 반환합니다. 제곱값을 구해주는 ** 연산자를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실제 사용건을 .. 2021. 7. 22.
[Python] 10 - 기본기 - 연산자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가지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우리가 평소에도 많이 쓰는 계산을 하여 값을 돌려주는 연산자를 의미합니다. 연산자 기능 EX 해석 결과(x=3,y=4) + 더하기 x+y x더하기y 3+4 = 7 - 빼기 x-y x빼기y 3-4 = -1 * 곱하기 x*y x곱하기y 3*4 = 12 / 나누기 x/y x를 y로 나눈 몫(float) 3/4 = 0.75(float) // 몫 x//y x를 y로 나눈 몫(int) 3//4 = 0(int) ** 제곱 x**y x의 y제곱(x^y) 3**4 = 81 % 나머지 x%y x를 y로 나눈 나눗셈의 나머지 값 3%4 = 3 실제 결과를 눈으로 확인해 보겠.. 2021. 7. 20.
[Python] 09 - 기본기 - 숫자 입력받기 파이썬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input함수를 사용해 숫자형(int,float)를 입력 받아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숫자를 하나만 입력받을 때는 a = int(input('숫자 : ')) 변수 a 에 숫자를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타입을 알아보았습니다. input함수를 int함수로 감싸주지 않을 경우에는 문자열로 받아들이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int로 감싸주지 않을 경우에는 숫자를 입력하더라도 문자로 받아들이는 것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똑같이 숫자 5를 입력받았지만 확인결과 변수 a의 자료형은 문자형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이번엔 여러개의 숫자를 입력받아 보겠습니다. a,b,c = input('숫자 여러개 : ').split() a=int(a) b=int(b).. 2021. 7. 19.
728x90